Loading...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 [생활 정보 Life Tips]

🏠[생활정보] | 8.15 광복절 | 태극기 의미, 게양일, 게양 방법

by Papa-Parakeet 2025. 8. 15.
반응형

올해는 광복 50주년입니다. 때문인지 그전부터 많은 행사와 홍보를 하더라고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습니다.!

연휴기도해서 많은 관심이 없어진듯 하지만 집에 태극기 게양을 하는 것도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① 태극기 게양하는 의미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주권과 정체성을 상징합니다. 기념일에 올바르게 게양하는 일은 국가의 역사와 희생을 기억하고, 시민으로서의 연대와 존중을 표현하는 가장 단순하고도 확실한 방법입니다.

핵심 포인트
경축의 표시 추모의 표시(조기) 시민 예절

② 태극기 게양하는 날

가정·사업장은 아래 국기게양일에 게양하는 것이 기본이며, 그 외의 날에도 언제든 달 수 있습니다.

날짜 명칭 방식 메모
3월 1일 삼일절 일반 게양 독립정신을 기리는 국경일
6월 6일 현충일 조기(半旗) 순국선열·호국영령 추모
7월 17일 제헌절 일반 게양 헌법 제정 기념
8월 15일 광복절 일반 게양 국권 회복 기념
10월 1일 국군의 날 일반 게양 국기게양일(기념일)로 지정
10월 3일 개천절 일반 게양 한민족 시원 기념
10월 9일 한글날 일반 게양 훈민정음 반포 기념
알아두면 좋아요
• 국기는 매일·24시간 게양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가급적 조명을 비추면 좋습니다.
• 국가장 등 정부가 정한 기간에도 게양합니다(필요 시 조기).

③ 태극기 게양하는 법

1) 시간

  • 원칙적으로 매일·24시간 게양 가능(야간에는 조명 권장).
  • 일상 운영(매일 올렸다 내릴 때) 권장: 오전 7시 게양, 오후 6시(3–10월)·오후 5시(11–2월) 강하.
  • 폭우·강풍 등 국기 훼손 우려 시엔 날씨가 갠 뒤 게양.

2) 위치

  • 가정·아파트: 집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베란다) 왼쪽 또는 중앙.
  • 건물: 전면 지상 중앙 또는 왼쪽, 주 출입구 상부 중앙, 옥상·차양 중앙 등.
  • 차량: 차량 전면에서 보아 왼쪽 위치.

3) 세로 현수형 방향(깃발을 세로로 걸 때)

  • 모서리 배열 원칙(건·곤·감·리)을 유지: 왼쪽 위에 ‘건(☰)’이 오도록 방향을 맞춥니다.
  • 쉽게: 가로 배치 모양을 시계 방향 90° 회전하면 대체로 올바른 배열이 됩니다.

4) 조기(弔旗, 반기) 게양

  • 게양: 깃면을 깃봉까지 완전히 올린 뒤 깃면의 세로 길이만큼 내려 고정.
  • 강하: 내릴 때도 다시 깃봉까지 올렸다가 내려 강하.
  • 여러 기와 함께 달면 모두 조기로 통일. 깃대가 짧아 완전 조기가 어렵다면 바닥에 닿지 않을 정도로 최대한 내립니다.
  • 현충일(6/6)과 국가장 기간 등에 적용.

5) 관리(선택)

  • 오염 시 가볍게 세탁·완전 건조 후 접어 보관.
  • 훼손 시 지자체 등 국기 수거함 이용 또는 적정 방법으로 폐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