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앵무새 도감
캐롤라이나앵무(Carolina Parakeet) — 멸종과 복원 논의
북미 토종 앵무 멸종: 1918년 공식 기록 복원 연구 진행중
기본 정보
학명 | Conuropsis carolinensis |
---|---|
분포 | 미국 동부와 중부(플로리다~뉴욕, 미주리~텍사스) |
외형 | 녹색 몸통, 노란 머리, 붉은 얼굴 깃이 특징 |
멸종 시점 | 1918년(신시내티 동물원의 마지막 개체 ‘Incus’) |

멸종 배경
- 삼림 벌목과 농경지 확대 → 서식지 상실
- 농작물 피해 조류로 낙인 → 집중 사냥
- 모피·깃털 장식 수요로 대량 포획
- 무리 생활 특성상, 한 개체가 쓰러지면 다른 개체들이 곁에 머물다 함께 사냥당하는 행동 습성
복원 시도
- 유전자 분석: 박물관 표본·깃털·골격에서 DNA 추출
- 게놈 복원: 살아있는 근연종(예: 선명앵무)과 비교하여 게놈 지도 작성
- 복원 프로젝트: 일부 과학자·NGO가 멸종 복원(de-extinction) 후보로 연구 중
- 과제: DNA 손상·서식지 회복·윤리적 논쟁 등으로 상용화까지는 먼 길
의미와 교훈
캐롤라이나앵무의 멸종은 인간 활동이 야기한 대표적 사례로, 복원 논의는 단순히 한 종을 되살리는 것을 넘어 생물다양성 보전과 윤리적 책임을 환기합니다. 현재의 연구는 기술적 가능성보다는 환경 보전과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후추(퀘이커)도 사이테스 2급으로 등록되어 키울 경우 신고, 등록해야 되는 절차가 있습니다.
사이테스 2급으로 멸종위기에 직면하지는 않았지만, 국제 거래가 무분별하게 이루어질 경우 멸종위기로 갈 수 있는 종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된 등급입니다. 대부분의 멸종된 동물들이 인간에 의해서이니, 자연보호에 힘써야겠죠~!
반응형
'🦜 [앵무새이야기 Parakeet 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무새 도감 #11] 세네갈 앵무새 | 진지하고 차분하고 특히 조용한(?) (17) | 2025.09.21 |
---|---|
🦜[앵무새 도감 #10] 뉴기니아 앵무새 | 아름다운 눈빛! 강렬한 색상! (17) | 2025.09.19 |
🐦🌙[앵무새 정보] | 앵무새의 꿀잠 | 앵무새 언제 얼마나 자야할까? (28) | 2025.09.10 |
🦜[앵무새 도감 #09] 청금강 앵무새 | 블루×옐로우, 존재감 만렙! (30) | 2025.09.03 |
🦜[앵무새 도감 #08] 목도리앵무 | 우아한 꼬리와 똑똑한 수다왕 (57) | 2025.08.26 |